공정무역종교기관

공정무역종교기관

공정무역종교기관은 종교적 믿음과 신념이 공정무역의 가치와 맞닿아 있음을 이해하고 

공정무역을 삶 속에서 실천하는 기관이다. 

공정무역종교기관은 신도들과 함께 공정무역을 실천하고 지역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펼쳐 나간다. 

공정무역종교기관 달성을 위한 목표 및 기준

목표 1. 위원회

  • 공정무역운영위원회를 구성하여 공정무역종교기관 지위 인증을 위해 노력한다.

  • 공정무역운영위원회는 사역자 및 신도 등으로 구성한다.

목표 2. 제품 사용 및 판매

  • 공정무역제품을 사용하고, 판매처를 둔다.

  • 회의나 행사 시 공정무역제품을 사용한다.

  • 반드시 1곳 이상의 관 내 판매처에서 공정무역제품을 판매한다.

    (초기 인증) 판매처 1개 또는 최소 1개 품목 이상

    (1차 재인증) 최초 인증보다 판매처 또는 품목 추가

    (2차 재인증) 1차 재인증보다 판매처 또는 품목 추가

목표 3. 교육 및 캠페인 활동

  • 미디어 홍보와 대중의 지지를 위한 교육 및 캠페인, 홍보활동을 한다.

  • 구성원(사역자 및 신도)이 공정무역 교육에 참여한다.

    (초기 인증) 최근 2년 이내 5% 이상

    (1차 재인증) 초기인증보다 참여인원 추가

    (2차 재인증) 1차 재인증보다 참여인원 추가

공정무역종교기관 To do List!

공정무역 제품 사용

공정무역 제품을 종교기관에 비치하기 전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물건을 구매할지 이해하는 단계가 필요합니다. 종교기관의 리더 또는 공정무역 분야 전문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대중의 이해를 도울 수 있습니다.

구매 영향력 확산

공정무역 확산과 홍보를 통해 소비자 수요와 공정무역 제품의 공급을 확산시키세요. 이로써 공정무역 제품 생산자와 생산자 가족의 삶, 그들이 속한 단체 환경을 개선시킵니다.건강관리, 자녀 교육 책임 등 생산자들이 자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공정무역 정의를 실현시킬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활동

공정무역의 가치를 표현하는 것에 서로 의견을 공유하고 공동의 목표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팀을 조직하여 공정무역마을 종교기관을 홍보하고 이를 확산시킬 수 있습니다.종교 단체는 대중과 만남의 기회가 많기 때문에 인신매매, 이주, 인권, 가난, 환경 보호, 성차별 과 같은 다양한 이슈에 대해 목소리를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중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사회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해결해가는 장이 될 것입니다.